문자열 연결 연산자(+)를 사용해서 list_a와 list_b의 자료를 연결하고, 문자열 반복 연산자(*)를 사용해서 list_a의 자료를 3번 반복하였다. 그리고 len() 함수를 이용하여 리스트 변수의 요소의 개수를 출력하였다.
리스트에 요소 추가하기: append, insert
리스트명.append(요소) → append() 함수는 리스트의 맨 뒤에 요소를 추가 리스트명.insert(위치, 요소) → insert() 함수는 괄호 안에서 정해 준 위치에 요소를 삽입 리스트명.extend([7,8,9])→ extend() 함수는 리스트의 맨 뒤에 한 번에 여러 요소를 추가
리스트에 요소 추가하기
#리스트 선언 list_a = [1,2,3] #리스트 맨 뒤에 요소 추가 print("#리스트 맨 뒤에 요소 추가 - append(요소)") list_a.append(4) list_a.append(5) print(list_a) #리스트 중간에 요소 추가 print("#리스트 중간에 요소 추가 - insert(위치, 요소)") list_a.insert(0,10) print(list_a) #리스트 한번에 여러 요소 추가 print("#리스트 한번에 여러 요소 추가 - extend(요소)") list_a.extend([7,8,9]) print(list_a)
[실행결과]
리스트 연결 연산자와 요소 추가의 차이
리스트 연결 연산자(list_a + list_b) 만으로 list_a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. 하지만 extend() 함수를 사용하면 list_a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.
리스트 요소 제거하기
↘인덱스로 제거하기- del, pop
인덱스로 제거한다는 것은 요소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거하는 것이다. del 키워드orpop() 함수를 사용한다.
del 리스트명[인덱스] 리스트명.pop(인덱스)
[실행결과]
del 키워드 사용 시 범위를 지정해서 리스트의 요소를 한꺼번에 제거할 수도 있다. 단, 마지막 요소는 포함되지 않는다!
범위의 한쪽을 입력하지 않으면 지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한쪽을 전부 제거할 수 있다.
[:3]을 지정하면 3을 기준(3번째는 불포함)으로 왼쪽을 모두 제거한다.
[3:]을 지정하면 3을 기준(3번째 포함)으로 오른쪽을 모두 제거한다.
↘값으로 제거하기 - remove
리스트.remove(값)
remove() 함수로 지정한 값이 리스트 내부에 여러 개 있어도 가장 먼저 발견되는 하나만 제거한다.
↘모두 제거하기 - clear
리스트.clear()
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내부에 있는 모건 것을 제거할 때 항상 clear라는 이름을 사용한다.
리스트 내부에 있는지 확인하기 - in / not in 연산자
값 in 리스트 → 특정 값이 리스트 내부에 있는지 확인 값 not in 리스트 → 특정 값이 리스트 내부에 없는지 확인
for 반복문
for반복자in 반복할 수 있는 것: 반복하고 싶은 코드 기술
"출력"이란 단어를 5번 반복하고 싶다고 하자. for문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.
for 반복문 - 리스트와 함께 사용하기
for 반복문과 리스트
[실행결과]
for 반복문은 리스테에 있는 요소 하나하나가 element라는 변수에 들어가며, 차례차례 반복하게 된다.
댓글